[뉴스현장] 도발 수위 높이는 북한…'단거리→중거리 미사일' 그 다음은?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오늘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넘어 4,500㎞나 날아갔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단거리 미사일만 연속 발사했던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로 도발 수위를 한층 높이면서 북한의 행보와 의도에 관심이 집중되는데요.<br /><br />외교·안보 부처를 담당하는 지성림 기자와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미사일 발사 소식은 우리 군 당국이 발표하면서 알려진 것으로 아는데, 먼저 우리 군이 밝힌 내용부터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 ]<br /><br />네,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오전 7시 23분쯤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며,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발사한 탄도미사일 비행거리는 4,500여km, 고도는 970여km, 속도는 마하 17로 탐지됐습니다.<br /><br />공개된 제원을 봤을 때 오늘 쏜 미사일은 북한이 '중장거리 탄도미사일'이라고 부르는 '화성-12형' 계열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전 배치된 화성-12형을 발사했거나, 아니면 사거리를 더 늘린 화성-12형 개량형을 쐈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화성-12형 발사는 올해 1월 30일 발사 이후 약 8개월 만인데, 북한은 올해 1월에도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화성-12형을 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월에는 고도가 약 2,000km였고, 비행거리는 800km로, 이번처럼 일본 상공을 넘어가지는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미사일이 일본 열도를 통과해 날아간 것은 2017년 이후 5년 만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김승겸 합참의장은 한미 공조회의를 통해 상황을 공유하면서 연합방위 태세를 더욱 굳건히 할 것을 확인했다고 군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합참이 북한 미사일 제원을 공개하기 전에 윤석열 대통령이 먼저 미사일 비행거리를 공개했는데, 출근길 문답에서 나온 얘기였죠?<br /><br />또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도 열렸다는데 그 내용도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윤 대통령은 오늘 아침 기자들과의 출근길 문답에서 북한 미사일의 대략적인 사거리를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"오늘 아침 보도에서 봤겠지만, 북한에서 (사거리) 4,000km 정도 되는 중장거리 미사일을 일본 열도 위로 발사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군 공식 발표에 앞서 북한 미사일 사거리를 공개함으로써 군으로부터 가장 먼저 그리고 신속하게 보고받았다는 걸 부각한 겁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또 "10월 1일 국군의 날에도 밝혔지만, 북한의 이런 무모한 핵 도발은 우리 군을 비롯한 동맹국과 국제사회의 결연한 대응에 직면할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은 오전 9시부터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대응 방안을 점검했습니다.<br /><br />NSC 참석자들은 북한의 IRBM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, 한반도와 국제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 도발이라며 강력히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한 도발을 묵과할 수 없고,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분명히 했으며, 대북 제재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억제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NSC 도중에 회의장을 찾은 윤 대통령은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 강화, 특히 북핵·미사일 대응을 위한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라고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까 북한의 미사일이 일본 열도를 통과해 날아간 게 5년 만이라고 하셨는데, 올해 1월에 발사한 화성-12형과 비교해 상당히 멀리 날아갔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같은 기종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뭐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 군 당국은 미국과 공조 아래 정밀한 정보 수단으로 북한 미사일을 탐지·추적합니다.<br /><br />그 결과로 북한 미사일의 최대 정점 고도와 비행거리, 속도 등 제원이 확인되는데, 군은 이런 제원을 토대로 미사일 기종을 분석합니다.<br /><br />군 당국은 오늘 미사일에 대해 중거리 탄도미사일, 즉 IRBM이라고 명확하게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보통 단거리, 중거리, 장거리로 갈수록 미사일 속도가 높아지는데, 북한이 최근 연거푸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들은 속도가 음속의 5~6배, 즉 마하 5~6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중거리 탄도미사일은 최대 비행 속도가 마하 15~18 정도인데, 오늘 쏜 것이 마하 17이고, 올해 1월 30일에 발사한 것은 마하 16 정도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대륙간탄도미사일(ICBM) 같은 경우는 최대 속도가 마하 20 이상입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속도로 봤을 때 오늘 쏜 것은 중거리 미사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왜 지난 1월에 쏜 것과 비행거리가 다르냐.<br /><br />그건 어떤 각도로 발사하느냐의 차이인데요.<br /><br />각도를 높여서 쏘면 정점 고도가 높아지는 대신 비행거리가 줄어듭니다.<br /><br />1월에 쏜 화성-12형은 정점 고도가 약 2,000km였지만, 오늘 발사한 건 970여km입니다.<br /><br />고도가 낮아졌다는 것은 북한이 고각 발사가 아닌 정상 발사 각도로 발사했다는 얘기고, 그래서 비행거리가 훨씬 늘어난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보통 '화성-12형'이나 ICBM을 쏠 때 정상 발사 각도보다 상당히 높은 고각 발사 방식으로 발사합니다.<br /><br />ICBM은 매번 최대 고각 발사로 비행거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쐈는데, 화성-12형은 때로는 정상 각도로 발사해 최대 사거리를 과시하는 방식으로 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2017년 9월에 그랬고, 오늘 또 정상 각도로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5년 만에 일본 상공을 통과한 겁니다.<br /><br />2017년 9월에 쏜 화성-12형은 고도 770km로 3,700여km를 날아갔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미사일이 가장 멀리 날아갔다고 주목을 받았는데, 오늘은 그때보다 사거리가 800km나 더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즉, 오늘 쏜 미사일이 북한 미사일 역사상 실제 비행거리로는 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고각 발사가 아닌 정상 각도로 쏘는 방식은 비행거리를 늘리면서 위협 수위도 한층 끌어올리려는 의도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오늘 쏜 미사일은 비행거리뿐 아니라 정점 고도 역시 200km가량 더 높아졌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즉 기존의 화성-12형보다 ...